열린 소통
더불어 아름다운 성장을 이루는 사회적경제기업을 응원합니다.
더불어 아름다운 성장을 이루는 사회적경제기업을 응원합니다.
안녕하세요.
용인시 사회적경제 기자단 [ 톡파원 ] 1기로 활동 중인 정현민 입니다.
정말 어렵게 틔움 발달센터 대표님과의 인터뷰가 성사되어, 대표님과 일문일답을 정리하여 포스팅 했습니다.
다음의 예비사회적기업인 틔움 발달센터 대표님과의 Q&A 인 만큼. 특정 답변은 경어체가 아닌 점을 양해 바랍니다.
Q. 틔움통합발달센터의 설립 취지를 말씀해 주십시오.
발달장애 아이들이 오랫동안 다닐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있는 공간을 만들고 싶었다.
영아, 유아기의 친구들이 성인이 되어서도 함께 할 수 있는 그런 공간을 구성하고자 했다.
Q. 틔움통합발달센터의 주 서비스를 소개해 주십시오.
틔움은 발달 상의 문제가 있는 모든 대상을 고객으로 생각하고 접근하고 있다.
우리 기관에 오는 대부분의 대상자들은 일상생활(기본적인 생활을 비롯한 학업, 사회적 관계 등)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틔움은 이런 대상자들이 보다 나은 하루 하루를 보낼 수 있도록 맞춤형 수업을 준비해 진행하고 있다. 기존의 특수교육 및 치료를 기반으로 하여 대상자별 필요 기능 및 니즈를 파악하고 이를 수업/치료 안에 녹여내고자 한다.
Q. 틔움통합발달센터만의 특징은?
세상이 변하고 있다 더 이상 발달장애인이 그들만의 세상에 있는 것이라 아니라 함께 하는 더 넓은 세상으로 나와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런 의미로 틔움은 일반 체육 시설 연계 프로그램, 틔움과 함께하기(월1회 외부 활동 프로그램), 방학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 주로 틔움 주변 시설들을 이용하고 있다.
Q. 운영에 있어 가장 우선으로 보는 가치관과 철학은 무엇입니까?
함께하기이다. 나는 우리 센터에 노는 모든 이들이 함께하기를 원한다. 같이 운동도 하고 공부도 하고 소풍도 가고 이런한 것들이 원하거나 바라는 것이 아니라 당연한 것이 되는 세상을 만들고 싶다. 그렇기때문에 틔움과 함께하기라던지 일반 체육 시설 연계 프로그램도 운영하는 것이다. 사실 앞서 말한 프로그램들은 우리에게도 생소한 프로그램들이다 보니 실제 운영함에 있어 우여곡절이 많다. 그럼에도 지속하는 이유는 우리의 시도가 다른이들에게 용기와 기쁨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Q. 가장 큰 보람을 느낀 사례나 기억에 남는 순간이 있다면 ?
중학교때 만난 발달장애 학생이 이제 성인이 되었고, 제가 발달장애 공부를 시작하는 단계에서 만난 친구가 이제 30대 중반이 되었다. 저와 함께 시간을 공유한 모든 대상자분들이 소중하고 아직도 그 분들과 함께 수업을 하고 땀을 흘릴 수 있다는 것에 행복을 느낀다.
당장 내일 수업에 목표를 위해 달려가겠지만 그 대상자의 처음 모습과 지금의 모습은 너무 많이 발전되어 있고, 지금 보다 내일을 기대하게 만드는 설렘이 있다.
Q. 현재의 사업장과 시스템을 만들 수 있었던 노하우(Know-how)
오랜 시간 경험을 통해 내가 만들고 싶은 공간에 대해 많이 생각을 하였다. 그 과정에서 저는 부모님이 함께 참여하는 수업을 5년간 진행하였고, 아직도 부모님과 함께 하는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발달장애인들에게 필요한 서비스와 욕구에 대해서 조금 더 빠르게 소통이 가능하였다. 그런 소통을 기반으로 그들에게 필요한 프로그램과 환경을 만들어 가고 있다.
Q. 현재 틔움이 지자체에 어떤 도움이 필요한지 (제도, 지원 등)
- 발달장애인들이 좋은 시설에서 운동할 수 있도록 지자체에서 가지고 있는 체육관을 대관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발달장애인을 위한 체육관 대관은 단순한 시설 제공을 넘어, 장애와 비장애의 경계를 허물고 진정한 지역사회의 통합을 이끄는 중요한 첫걸음입니다. 지자체가 보유한 체육관은 발달장애인들이 건강한 삶을 누리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며 성장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지자체의 적극적인 협조와 지원을 간곡히 요청드립니다.
Q. 앞으로의 전망과 목표를 말씀해 주십시오.
저희 센터를 이용하는 모든 사람들이 꿈을 꿀 수 있고, 그 꿈을 이루는 공간을 만들고 싶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에 있는 시설들과 다양한 활동을 경험해야한다. 센터에서만 하는 수업은 한계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발달장애인 한사람 한사람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그 해결방법을 모든 사람들에게 확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